




안녕하세요^^
다양한 정보를 안내해 드리는
진달래~♣ 입니다.
딱 알맞은 크기에 누구나 좋아할 수 있는
디테일을 가진 가방이 있어요.
바로 프라다 스윙백 입니다.


프라다 스윙백의 스.윙은
여러가지 뜻으로 해석되는데
여기에서는 그네를 떠올리시면 될거 같아요.
손잡이를 보시면 그네 모양을 닮아있지 않나요.
부드러운 곡선을 하고 있는데
한줄이 아닌 두줄 입니다.
줄 자체가 두껍지 않아서 두개를 매치하는게 좋아요.

정면 상단에는 에나멜 소재의 삼각로고가 아닌
엠보싱 레터링 로고로 되어있어요.
삼각 로고 좋아하시는 분들 많은데
이 가방에는 엠보싱 로고가 잘 어울리는거 같아요.
부드러운 가죽백이라
이 자체가 주는 고급스러움이 있고
실용성도 뛰어납니다.

남성분들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쉐입에서 특별함을 더하고
부드러운 스트랩에서 기능성을 더해
프라다 스윙백 만의 개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는 운동갈때나 여행갈때
그리고 일상에서도 자주 사용할 수 있는 가방이 좋은데
이 디자인이 딱 그랬어요.

가방 사이즈는(28*11.5*10cm) 입니다.
가로가 훨씬 더 길어요.
이렇게 가로로 길면
휴대용 전화기 수납도 쉬워지고
여러모로 편리합니다.

가로로 긴데 잠금이 지퍼 잠금이예요.
지퍼 하나로 열고 닫게 되면
아무래도 불편할 수 있잖아요.
편의성을 강조한 디자인이라
지퍼도 두개를 배치해 두었습니다.
그래서 양쪽에서 개폐가 가능해
엄청 편해요.
지퍼 길이는 짧게 하고 대신 가죽 손잡이를 부착하여
쉽게 오픈할 수 있게 했습니다.

지퍼도 상단에서 끝나는게 아니라구요.
아래 사진 보시면 바닥 살짝 위에까지 마감되어있어요.
이렇게 되어있으니 입구가 얼마나 크겠어요.
지퍼 테두리는 봉긋 솟아있는
브라운톤의 가죽으로 마감하여
다시한번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내부역시 가죽 소재 입니다.
지퍼 잠금이 하단부까지 이어지는 디자인들은
대부분 측면 칸막이가 있어요.
내부 소지품이 밖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이죠.
이 가방에도 측면 칸막이를 배치하여
지퍼를 오픈해도 소지품이 밖으로 나오지 않습니다.

클래식한 매.력이 잘 담겨 있어요.
모던한 요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남성분들도
무난하게 사용 가능해요.

스트랩의 길이는 어깨에 걸칠 수 있는 정도예요.
어깨에도 걸치고 손으로도 들고다니고^^


다른 색상도 만나볼게요.
오늘은 네가지 컬러를 구경해 볼 수 있어요.

원색느낌으로 되어있는데
지퍼 테두리를 감싸는 가죽이
다른 컬러 입니다.
그래서 자세히 보시면
투톤 이예요.
싫증나지 않고 세련된 연출이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디테일 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저는 무엇보다 가죽 느낌이 정말 좋았어요.
역시 PRADA는 가죽을 정말 잘 만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거친 느낌의 사피아노 소재도 좋고
매끈한 브러시드 가죽도 좋아요.
이번 디자인에서도 컬러가 더 돋보이는거 같아요.

두개의 핸들을 한꺼번에 들게되면
무게가 많이 느껴지지 않아요.


지퍼부분의 가죽도 바디 컬러에 맞추었어요.
대신 지퍼를 중심으로 양쪽 튀어나온 가죽은
컬러가 다른데요.
네가지 컬러 어떻게 배합되어있는지
눈여겨 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지금 보시는 레드 컬러에는
화이트 컬러의 가죽을 매치해 두었습니다.

지퍼는 아랫부분까지 내릴 수 있으니
수납도 걱정 없어요.~!!!

내부는 패치 포켓이 있어요.
나파 가죽으로 마감해 두었습니다.
내부 패치 포켓앞에 로고가 있어서
마감이나 완성도 부분이 뛰어납니다.
보조공간 있지만 부피가 크지 않아
메인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요.

레드 컬러는 강렬하지만
고급스러운 느낌이 있는 컬러 입니다.
이렇게 예쁘게 나왔을때 선택해 보셔도 좋을거 같아요.


네가지 컬러 모두 매.력이 정말 많아요.

지금 보시는 컬러는
손잡이와 바디 컬러가 달라요.
그리고 위에서 만나보셨던
블랙이나 레드 컬러에 비해
사용된 색이 많습니다.






내부 컬러가 밝으면 소지품이
잘 보이는 느낌^^
공간 활용을 최대로 할 수 있어서
출퇴근용이나 짧게 다녀오는 여행용 가방등으로
자주 사용할 수 있을거 같아요.




이제 마지막 색상은 설명없이
사진으로 이어서 소개할게요.











☆☆☆☆
색상별 번호 안내입니다.
